목록전체 글 (5679)
도시산책자 계봉 씨의 평범한 하루
찔레꽃 찔레꽃 - 작사 : 이연실, 작곡 : 박태준, 노래 : 안치환 찔레꽃 - 詩 : 이원수, 곡 : 백창우, 노래 : 김가영 가을밤 - 작사 : 이태선, 곡 : 박태준, 노래 : 신영옥 가을밤 - 작사 : 이태선, 곡 : 박태준, 노래 : 이선희 찔레꽃 - 작사 : 이연실, 작곡 : 박태준, 노래 : 이연실 찔레꽃 - 작사 : 이연실, 작곡 : 박..
1. 저무는 계절의 뒷모습을 빗물 속에서 바라보네... 빗물 속에서 여름이 가고, 빗물 속에서 가을이 오네. 2. 작은 것에만 흥분하는 내가 싫다. 윤색된 품위와 자존심을 버리고 나면 과연 무엇이 남을까. 때가 되면 스스로 아름다운 결별을 준비하는 계절의 저 솔직한 뒷모습을 보면서 생각해 본다. "나는..
오척 단신 내 친구 김○용의 발은 너무도 작아 진열장에 코를 내민 그 어떤 구두도 맞질 않는다. 그래서 그런가 늘 불편해 보이는 친구의 걸음걸이 편한 걸음을 위해선 솜을 넣어 신거나 맞춤구두집에서 맞춰야 한다. 구두의 여백만큼 불편하게 걷는 세상.... 언제나 친구와 세상 사이에는 운명같은 여..
친구들... 가을이 오는 소리가 들리나요. 피부로 느끼고 있는 지극히 구체적 폭염 속에서 아직 오지도 않은 가을을 얘기하니 아직은 실감이 나질 않나요? 신문도 재미없고, 뉴스도 재미없고.....이러다..... 사는 것마저 재미없어지면 어떡하나 뜬금 없는 생각을 잠깐 하다가... 하늘을 보면, 햇살이 말을 ..
한 블로그 친구의 부탁을 받고, 오래전에 읽었던 에 대한 '감상'을 올려봅니다. 신경숙의 소설은 확실히 매력적이다. 문체도 내용도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확실한 '감염력'이 있는데, 그 감염력(흡입력 혹은 매력)의 정체를 "인간 존재가 숙명적으로 가지는 '결핍'을 향한 간절한 발신음"에서 찾은 김훈 선생의 견해에 나는 전적으로 공감한다. '숙명적 결핍'의 존재들인 인간들 사이의 교감이, 그녀가 쓰는 소설의 내용과 형식을 지탱해 주는 주된 줄기라는 것이다. 따라서 를 유전자 속에 이미 가지고 있는 독자들은(인간인 이상 이건 숙명이다.) 그녀의 소설에 '숙명적으로' 공감할 수밖에 없고, 거기서 정서적 동질감들이 만들어지며, 결국 그녀의 소설에 '감염'되고 마는 것이다. 그녀의 첫 장편소설 은 한 ..
빛바랜 한 장의 사진 속에서 나는 상고머리 소년 어머니의 손을 잡고 뒤뜰에 서 있다. 사진찍기가 어색한 나는 잔뜩 굳은 표정. 어머니의 월남치마 그 현란한 꽃무늬가 흑백사진 속에선 드러나지 않는다. 누나의 애인 그 장발(長髮) 총각의 사진기에선 이후로도 여러 장 나의 얼굴이 튀어..
'복날'하면 역시 '삼계탕'이죠? 요건 우리집 삼계탕! 요거는 동네 요리집이 아니라, 제대로 된 유명 요리집 삼계탕...^^ 한방 백숙 애견가들에겐 매우 죄송하지만.. 어쩌겠어요. 우리의 음식 문화인 것을...ㅎㅎㅎ 개고기 수육 복날 음식의 대표주자, 보신탕 개고기 전골 힘이 불꾼불꾼 솟게 하는 '장어구..
활동을 위하여 그는 이름을 바꾸었다. 오직 전진만이 있을 뿐이라며 바꾼 이름 '유진(唯進)', 그러나 정체된 상황은 쉽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가 이름을 바꾸며 이루려 했던 ○○은 아직도 주변에서 손짓하며 맴을 돌 뿐 그 어떤 확약과 암시도 주지 않았다. 그가 다시 본명을 찾기 위해선 아마도 적잖..
묵은 신문과 책꽂이 위를 머뭇거리던 햇살이 물러가자 이내 한여름 습기 머금은 어둠이 찾아왔다. 엎지러진 커피가 티슈에 스미듯 밀려오는 어둠은 메모판 위 압핀에 꽂힌 메모지들을 지우고, 벽에 걸린 그림 속 인물의 얼굴을 지우고, 몸통을 지우고 곧 윤곽마저 지워버렸다. 잠시 후면 정물처럼 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