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산책자 계봉 씨의 평범한 하루
채소값이 금값이네 본문
장을 볼 때마다 나는 항상 싸고 양이 많은 것에만 눈길을 준다. 처음에는 그런 나 자신에 대해 서글픔을 느꼈지만 지금은 그런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내가 뭐 대단한 미각의 소유자도 아닐뿐더러 주머니가 얇은 나로서는 동종(同種)의 상품일 경우 용량이 많거나 싼 것 위주로 장을 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다만 아무리 싸더라도 듣도 보도 못한 메이커이거나 중국산, 포장상태가 엉망인 경우는 예외다. 라면도 오랜 동안 먹어 왔던 ‘신라면’보다 값도 싸고 기업이미지가 좋은 ‘오뚜기 진라면’을 구입하거나 한 개 더 포장된 ‘5+1’의 삼양라면을 구입한다. 참기름이나 된장, 그리고 식용유도 이름이 알려진 메이커의 제품 중 가장 싼 것을 구입한다. 가격 차이가 적게는 오백 원에서 많게는 2천 원까지 난다. 단 두부만은 항상 풀무원 제품을 구입한다. 마트에서 파는 채소의 경우는 매번 시세에 따라 가격이 오르락내리락 하지만 하루 지난 상품은 반값에 파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가끔 무른 오이나 풀죽은 시금치를 사와서 엄마에게 지청구를 먹기도 하지만 그런 일은 가끔, 정말 가끔 한 번씩 있는 일일 뿐이고 대체로는 내 장보기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는 편이었는데....
오늘 몇몇 채소 값은 금값이었다. 농구선수 손가락만한 오이 두 개에 천오백 원, 중간 크기 무는 삼천오백 원, 가지 두 개에 이천오백 원..... 한참 동안 채소코너 앞을 서성거리다가 무와 가지는 결국 포기하고, 오이 두 개(냉면을 만들어 먹기 때문에 비싸도 오이는 살 수밖에...)와 표고버섯(삼천 원), 시금치(천 원), 고추(천 원), 상추(천 원), 양배추(4분의 1조각 칠백 원)만 구입했다. 그래도 겨울에 싱싱한 채소를 먹을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축복이냐고 스스로 위로하면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성탄 (0) | 2019.12.25 |
---|---|
하루종일 영화만 보다 (0) | 2019.12.24 |
동지(冬至) (0) | 2019.12.22 |
친구 결혼식날, 진눈깨비 내리고.... (0) | 2019.12.21 |
술은 위험한 유혹자라니까 (0) | 2019.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