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처서 (8-22-목, 소나기)

달빛사랑 2024. 8. 22. 23:42

 

"태양의 황도(黃道) 상의(黃道) 위치로 정한 24 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처서(處暑)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태양이 황경 150도에 달한 시점으로 양력 8월 23일 무렵, 음력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든다.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음력 7월을 가리키는 중기(中期)이기도 하다." ❙ 네이버 백과사전

 

처서, 말 그대로 더위가 누구러진다는 날이었지만 한낮의 무더위는 여전히 맹렬했다. 간간이 소나기가 내렸지만 시원해지기는커녕 더 덥고 습해지기 일쑤였다. 하지만 저녁에는 확실히 더위가 누구러졌다. 후배 은준과 집 근처 '강원정육식당'에서 오겹살 안주로 소주를 마시고, 입가심을 위해 '인쌩맥주'로 이동할 때, 바람의 결이 정육식당에 들어갈 때와는 현저하게 달라졌음을 피부로 느꼈다. 2차로 간 맥줏집에서 은준은 에어컨 바람이 춥다고 툴툴댔는데, 나만큼이나 더위 타는 그의 반응이 놀라웠다. 담배를 피우기 위해 자주 술집 안팎을 오가던 그는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다른 때와는 다르게 느껴졌던 것 같다. 우리는 이구동성으로 "밤이 되니 처서가 제대로 이름값 했네", "자연의 시계는 빈틈이 없네요"하며 놀라워했다. 올여름은 유난히 더위가 혹독했기에 달라진 공기의 결은 나를 설레게 했다. 맥줏집을 나와 선주후면(先酒後麵)하는 평소의 루틴대로 우동을 먹기 위해 '한신우동'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100여 미터 그 짧은 거리를 걸어가는 동안, 잠깐이지만 초가을의 손길을 살짝 느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여름은 분명 저물고 있고 가을은 코앞까지 다가온 것이다.